티스토리 뷰
반응형
RPC(Remote Communication Mechanism)
gRPC 는 커뮤니케이션 프레임워크입니다
gRPC(원격 프로시저 호출)는 한 프로그램이 네트워크의 세부 정보를 이해하지 않고도 네트워크 안의 다른 컴퓨터에 있는 프로그램에서 서비스를 요청하는 프로토콜입니다. RPC는 client-server 모델을 사용합니다. 클라이언트에서 서비스를 요청(function call)하면, 서버에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
마이크로서비스는 여러 PL들로 만들어졌습니다. 이 서비스들 간에는 소통이 필요한데, 마이크로서비스 간에 교환되는 메세지 수는 엄청나게 많기 때문에 빠른 소통이 좋습니다. 이에 개발자는 핵심 로직의 구현에만 집중하고, 소통은 프레임 워크에 맡기는 것입니다.
gRPC 메시지는 기본적으로 **Protobuf (이진형식)**로 인코딩 됩니다. > 송수신 효율적 but 사람이 못읽습니다.
gRPC 대신에 흔히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JSON을 사용한 HTTP API입니다. HTTP API는
- Client ←→ Server
- Server ←→ Server
간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사용되는 통신 방법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.
밑에 예제를 보면 Client가 HTTP로 RESTful하게 서버에게 GET으로 post들을 요청 합니다. 그리고 서버는 요청에 대해 JSON으로 post들을 리스트로 전달하게 됩니다.

gRPC 작동원리

반응형
'TIL W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항해 99 TIL-6 부울 연산과 논리 게이트 (0) | 2022.02.09 |
---|---|
항해 99 TIL-5 Class (0) | 2022.02.08 |
[WIL-4week] 2021.01.31~02.06 (0) | 2022.02.06 |
항해 99 TIL-3 Class (1) | 2022.02.06 |
[WIL-3week] 2021.01.24~30 (0) | 2022.01.30 |